2025년 기준 스태블코인이란? 사용처·비교·전망·기대효과 정리
2025년 기준 스태블코인이란? 정의부터 사용처·비교·전망·주식까지
작성일: 2025년 7월 20일 | 문의: 진쏘의 수익화연구소 (soyeonbada@gmail.com)
2025년 현재, 스태블코인(Stablecoin)은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한 디지털 자산으로, 실물 화폐(USD, EUR) 또는 국채·예금 등 안전자산과 1:1 지급준비금으로 뒷받침됩니다. GENIUS Act 등 미국 정부의 규제 범위 안에서 공식 인정받으며, 디지털 결제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고 있는 상황이고요! 스태블코인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.
📌 스태블코인이란? — 개념 및 분류
스테이블코인(stablecoin)은 1달러처럼 특정 자산(주로 법정화폐)에 연동되어 가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암호화폐입니다. 2025년 현재 전체 시장 규모는 약 2,350억 달러에 이르며, 이는 2020년 대비 급격한 성장세입니다
1. 정의
GENIUS Act(2025)는 스태블코인을 ‘지급·결제 목적으로 설계된 디지털 자산’으로 정의하며, 지급준비금 1:1 뒷받침과 월간 준비금 공개·감사 의무를 명시했습니다.
2. 분류
종류 | 예시 | 특징 |
---|---|---|
법정화폐 담보형 | USDT, USDC, BUSD, TUSD, PYUSD 등 | 실제 법정화폐나 유가증권(예: 미국 국채)로 1코인당 대응하는 자산 보유 (MEXC Blog, 토스) |
암호화폐 담보형 | DAI | 암호화폐를 담보로 발행되며, MakerDAO가 발행한 대표적 예시 (Mural Pay, Ivy) |
상품 담보형 | PAXG | 금 등 실물 자산을 담보로 발행됨 (Ivy, 위키백과) |
알고리즘형/무담보형 | 일부 실험적 프로젝트 | 알고리즘으로 공급을 조절하여 가치 안정화 시도 |
🔝 주요 스테이블코인 – 2025년 기준
- Tether (USDT)
- 시가총액 기준 1위, 유동성 및 거래량 최다 위키백과Yahoo Finance
- 미국 국채 등 안전자산 보유해 금융 시장에도 영향 (약 1,600억 달러 규모) 위키백과arXiv
- USD Coin (USDC)
- Circle이 발행. 규제 준수와 투명성 강점 Investopedia+12위키백과+12위키백과+12
- 2025년 현재 시총 약 600억 달러 규모 F N London위키백과
- DAI
- MakerDAO의 탈중앙화 담보형 스테이블코인. 디파이(DeFi)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됨 위키백과+14Mural Pay+14위키백과+14
- BUSD, TUSD, PYUSD 등
- BUSD: 바이낸스 + Paxos, US 달러 담보형
- TUSD: TrueUSD, 투명한 담보 보유로 신뢰 확보 위키백과+13Mural Pay+13MEXC Blog+13
- PYUSD: PayPal USD, 글로벌 결제 서비스와 연결됨 Kraken+5위키백과+5MEXC Blog+5
- 기타
- 월드 리버티(fiat-backed), 유로담보(EURC), 골드백(PAXG) 등도 점차 부상 중 MEXC Blog+2markets.businessinsider.com+2CoinGecko+2
💡 스태블코인 사용처
스태블코인은 기존 금융 및 디지털 경제에서 다음과 같은 용도로 활용됩니다:
1. 크로스보더 결제 & 송금
전통 송금 대비 수수료 ↓, 시간 단축 → ‘글로벌 결제의 실용적 대체재’로 인정
2. 디지털 커머스 & 일상 결제
소비자·쇼핑몰에서는 신용카드 수수료(2–3%) 절감 기대
3. 디앱·디파이 기반 금융상품
대출, 예치, 수익농사 등 디파이 활동에서 안정적 가치 기준 수단으로 사용 (예: Dai 담보 대출)
4. 자산보관 & 헤지 수단
신흥국의 인플레 헤지 수단으로 활용
📊 대표 스태블코인 비교표
코인 | 담보형태 | 준비금 투명성 | 시가총액(2025년) | 특징 |
---|---|---|---|---|
USDT (Tether) | Fiat | 제한적, 과거 일부 불투명 지적 있음 | ≈1550억 달러 | 거래량 1위 |
USDC (Circle) | Fiat | 월간 공시 및 감사 진행 | ≈410억 달러 | 기관 결제용 채택 사례 증가 |
Dai | Crypto 담보 | 스마트컨트랙트 기반 온체인 투명성 | 소규모 | 탈중앙형 거버넌스 |
USD1 | Fiat + 국채 | 월간 공시 예정 | 신규 (출시 2025) | 트럼프 계열 |
🔍 트럼프 정권에서의 스태블코인 전망
트럼프 행정부는 스테이블코인을 포함한 디지털 자산을 미국의 금융 주권과 달러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, 규제와 우대 정책을 병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
1. 규제 정비: GENIUS Act
2025년 7월 18일,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스태블코인 규제법인 GENIUS Act에 서명했습니다. 법은 발행사는 준비금 1:1 보장, 월간 준비금 공개, 고객 보호 및 자금세탁방지(AML) 의무를 명시
2. 행정 명령으로 CBDC 금지
2025년 1월 트럼프 행정부는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(CBDC) 도입 금지, 스태블코인 활용 독려를 골자로 하는 행정명령 EO‑14178을 발표
3. 재계·국제금융 파장
월마트, 아마존 등 리테일 대기업이 자체 스태블코인 발행 논의 중이며, 이들 대기업은 기존 카드 수수료(2–3%) 절감 가능
4. 정치적 우려 논의
일부 정치인들(예: Maxine Waters, Elizabeth Warren)은 스태블코인의 투명성과 트럼프 계열의 이익 충돌 가능성을 우려
🎯 스태블코인 시장 영향 전망
- 제도화와 통합의 시대: 규제 명확성으로 전통 은행이 스테이블코인에 진입하고, 결제·송금 등 실생활 사용 가능성이 높아질 전망입니다 AxiosBusiness Insider.
- 달러·재무부시장과의 연계 강화: 준비금으로 단기 국채 사용이 늘어나며, 재무부 증권 수요 증가, 달러 위상 강화 효과 기대 The White House위키백과.
- 시장 안정성과 리스크 관리: 월스트리트 참여 확대, 규제 명확화로 안정성 높아지지만, 정치적 이해관계(트럼프 측 연루)나 소비자 보호 부족 우려도 존재 Vanity Fair위키백과위키백과.
📈 관련 주식 및 투자처
스태블코인 기반의 디지털 금융 확대에 따른 수혜주는 다음과 같습니다:
- Circle (USDC): 준비금 투명성·기관 거래 증가
- Tether Ltd.: USDT 시장 지배적
- World Liberty Financial: 트럼프 계열 USD1 발행
- 비자(Visa), 마스터카드: 경쟁적 비용 절감 영향 주시
- 암호화폐 거래소 (Coinbase, Binance): 스태블코인 거래·결제 증가에 따라 수수료 수익 확대 기대
✅ 스태블코인 요약 정리
– 정의: 준비금으로 1:1 보장되는 디지털 지급수단
– 용도: 송금, 결제, 디파이, 헤지 수단 등
– 한국 내 기업 적용 가능성: 글로벌 결제 수요 대응, e커머스·금융기술 협력 기대
– 규제 동향: 미국 중심의 법적 안정성 향상 (GENIUS Act 시행)
– 투자처: Circle, Tether, 전통 금융사, 거래소
– 위험요소: 준비금 부실·정치적 리스크·기존 금융업계 저항
📎 관련 정보 참고자료
- GENIUS Act 개요 및 법안 세부내용
- USDT, USDC, Dai 등 스태블코인 시총 및 특성
- 트럼프 행정부 규제정책 (GENIUS Act, EO‑14178)
- Retail 기업 발행 논의 내용
📧 문의: 진쏘의 수익화연구소 (soyeonbada@gmail.com)
📌 이전글 보기: [이전글 : 코인거래소 추천]
답글 남기기